데카르트의 Cogito ergo sum 에 대한 짧은 느낌
당근 지금 나는 생각하고 있겠지. 내가 있어야 생각할 수 있겠지. 없으면 생각할 수 있겠어? 나는 이것이 나에게 명석판명하게(clearly and distinctly), 인식되기 있기 때문에 참이라고 생각해.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다시 말해 내가 생각하고 있다고 해서, 내가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근거로 내가 내 몸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는 없지. 물론 나는 있지만 …?!
만일 내가 사고하지 않는다면 나는 내가 존재한다고 믿을 어떤 근거도 지니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나는 오직 사고하는 것만을 본질로 삼는 실체이다. 따라서 내가 육체를 지닌다는 점은 나의 본질과 전혀 무관하다. 엔서니 케니, 『근대철학』, 김정호 옮김, 2014, 71~72쪽.
데카르트가 새로운 옷을 만들어 그 옷을 입고 다녔는데 이 패션이 유행이 되었다. 모든 철학자들이 그 유행에 적합한, 그 옷에 잘 맞는 사람들이 아니었다. 데카르트이기 때문에 이 옷이 잘 맞았던 것일뿐이다.
고대 이래 자기 자신을 완전히 새로운 철학을 제시한 인물로 여긴 최초의 철학자는 바로 데카르트였다. 그는 자신을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세계에 관한 진리를 최초로 제시한 특권을 누린 인물로 여겼다. 이후 철학자들은 데카르트가 걸었던 길을 따랐다. 로크, 흄, 칸트는 각각 자신의 철학을 최초로 건전한 원리에 따라 구성된 새로운 창조물로 여겼다. ‘내 저술을 읽어라, 이전 사람들의 저술은 내다 버려라’ - 이것이 17, 18세기 사상가들의 한결 같은 주장이었다, 엔서니 케니, 『근대철학』, 김정호 옮김, 2014, 77쪽.